AMI(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시술 종류
**급성 심근경색(AMI, Acute Myocardial Infarction)**은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인해 심장 근육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시술이 생명을 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AMI 환자에게 시행되는 주요 시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관상동맥 조영술(CAG, Coronary Angiography)
- 목적: 관상동맥의 협착, 폐색 상태를 확인하는 진단적 시술
- 적응증: 흉통이 지속되거나 심근경색이 의심되는 환자
- 과정: 대퇴동맥 또는 요골동맥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하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X-ray로 관상동맥을 촬영합니다.
관상동맥 조영술은 진단적 목적으로 시행되며, 이후 상태에 따라 PCI 또는 CABG와 같은 치료적 시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관상동맥 중재술(PCI,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관상동맥 중재술(PCI)**은 심근경색 환자에서 막힌 혈관을 신속하게 열어주는 치료적 시술로, 심근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생존율을 높입니다.
- 적응증: ST 상승 심근경색(STEMI) 또는 비ST 상승 심근경색(NSTEMI) 환자에서 관상동맥의 심한 협착 또는 폐색이 확인된 경우
- 과정:
- 대퇴동맥 또는 요골동맥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
- 협착 부위에서 풍선 확장을 시행한 후 스텐트를 삽입하여 혈관을 유지
PCI의 주요 형태
- 풍선 확장술(PTCA,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 협착 부위에 풍선을 삽입하여 확장하는 방법
- 스텐트 삽입과 병행되는 경우가 많음
- 스텐트 삽입술(Stent Placement)
- 협착 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여 혈관이 다시 좁아지지 않도록 유지
- **Bare-metal stent(BMS)**와 Drug-eluting stent(DES) 두 종류가 사용됨
- 혈전 제거술(Thrombectomy)
- 혈관 내 혈전을 직접 제거하여 관상동맥을 개방하는 방법
- PCI와 함께 사용하여 폐색된 혈관을 빠르게 열어줌
3.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는 관상동맥이 심하게 협착되어 PCI로 치료하기 어려운 경우 시행되는 외과적 수술입니다.
- 적응증:
- 다발성 관상동맥 협착(3개 이상의 주요 관상동맥이 막힌 경우)
- 좌주관동맥(LMCA) 협착
- PCI가 실패했거나 고위험 환자인 경우
- 과정:
- 흉부 동맥(내흉동맥)이나 다리의 정맥(대복재정맥)을 이용해 막힌 혈관 부위를 우회하는 경로를 만들어 심장으로의 혈류를 확보
CABG는 장기적으로 혈류를 안정화하고 재발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4. 혈전 용해술(Thrombolytic Therapy)
혈전 용해술은 혈전 용해제를 이용해 막힌 혈관의 혈전을 용해하여 관상동맥 혈류를 복구하는 방법입니다.
- 적응증:
- PCI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STEMI 환자에게 사용
- 발병 후 12시간 이내에 치료가 이루어져야 효과적
- 대표 약물:
- 알테플라제(Alteplase, TPA)
- 레테플라제(Reteplase)
- 스트렙토키나제(Streptokinase)
혈전 용해술은 신속하게 혈류를 회복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출혈 위험이 있어 사용 전 금기사항을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5. 대동맥 풍선펌프(IABP, Intra-Aortic Balloon Pump) 삽입술
IABP는 심장이 펌프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할 때 대동맥에 풍선을 삽입하여 심장의 부담을 줄이고 혈류를 보조하는 시술입니다.
- 적응증:
- 급성 심근경색 후 심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
- 심인성 쇼크가 동반된 경우
- PCI 또는 CABG 전후의 심근 보호 목적으로 사용
- 과정:
- 대퇴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하고 대동맥 내에서 풍선을 확장 및 수축시켜 심장 박동에 맞게 혈류를 보조
결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시술 선택이 중요합니다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치료는 **정확한 진단(CAG)**과 **즉각적인 중재적 치료(PCI, CABG 등)**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혈관 상태와 환자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적절한 시술을 선택하는 것이 환자의 생존과 장기적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시술 후 철저한 간호 관리와 약물 치료도 성공적인 회복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응급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세동기(Defibrillator) 작동법과 주요 기능 정리 (0) | 2025.02.06 |
---|---|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환자에게 필요한 시술 및 수술 가이드 (0) | 2025.02.06 |
심정지 환자의 심전도 리듬 분석과 적절한 응급 처치 방법 (0) | 2025.02.05 |
심장 페이싱(pacing) 치료법 총 정리: 적응증, 준비 절차, 모드 선택 방법 (0) | 2025.02.05 |
심근경색(AMI) 환자 응급 간호와 투여 약물 정리 (0) | 2025.02.05 |